사물인터넷IoT

ioT무선 LTE사용시 통신사별apn

아이티제어 2025. 8. 20. 22:19

한국 3사 기본(APN) 값은 아래처럼 쓰시면 됩니다. (일반 데이터용 기준)

 
//영국발 (글로벌) Vodafone (요금제/프로파일에 따라 상이)
#define APN "simplio.apn"


// 한국 ( 국내)
#define APN_SKT "lte.sktelecom.com"

#define
APN_KT "lte.ktfwing.com"

#define
APN_LGU "internet.lguplus.co.kr"

// 보통 ID/PW는 비움, PDP는 "IP" 또는 "IPV4V6"

AT 명령 예 (PDP #1)

 
AT+CGDCONT=1,"IP","lte.sktelecom.com" // SKT

AT+CGDCONT=1,"IP","lte.ktfwing.com"  
// KT

AT+CGDCONT=1,"IP","internet.lguplus.co.kr" // LG U+

참고/주의

  • SKT는 요금제/용도에 따라 APN이 다를 수 있음: 일반적으로 lte.sktelecom.com을 쓰지만, 일부 M2M/IoT 회선은 web.sktelecom.com 또는 lte-internet.sktelecom.com을 씁니다. 개통된 유심(요금제) 문서의 APN이 우선입니다. neokosim.comapnsettings.orgm2msupport.net+1Cellhire
  • KT: 표준 APN은 lte.ktfwing.com 입니다. (MMS/3G 등은 별도) 
  • LG U+: 표준 APN은 internet.lguplus.co.kr 입니다. 
    https://m2msupport.net/

모듈 세팅 팁

  • PDP 타입: IPv6 망인 경우 IPV4V6로 잡아야 데이터 붙는 경우가 있습니다.
    예) AT+CGDCONT=1,"IPV4V6","lte.ktfwing.com"
  • 인증정보: 국내 3사는 보통 Username/Password 공란입니다. (필요 시 통신사 가이드 우선)  https://roaming.kt.com/
  • NB-IoT/LTE-M 회선전용 APN을 따로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. 개통서/담당 영업에서 받은 APN을 사용하세요. m2msupport.net 

📌 1. SKT (SK텔레콤)

  • APN: lte.sktelecom.com
  • User/Password: 공란
  • PDP 타입: IP (일부 IoT는 IPV4V6)

AT+CPIN?                         // SIM 상태 확인
AT+CSQ                           // 신호 세기 확인
AT+CREG?                         // 네트워크 등록 확인
AT+CGDCONT=1,"IP","lte.sktelecom.com"   // PDP Context 설정
AT+CGACT=1,1                     // PDP Context 활성화
AT+CGPADDR=1                     // 할당된 IP 확인

 

📌 2. KT (KT Olleh)

  • APN: lte.ktfwing.com
  • User/Password: 공란
  • PDP 타입: IP 또는 IPV4V6

AT+CPIN? 
AT+CSQ 
AT+CREG? 
AT+CGDCONT=1,"IP","lte.ktfwing.com" 
AT+CGACT=1,1 
AT+CGPADDR=1

 

 

📌 3. LG U+ (엘지유플러스)

  • APN: internet.lguplus.co.kr
  • User/Password: 공란
  • PDP 타입: IP (IPv6 병행망이면 IPV4V6)
AT+CPIN? 
AT+CSQ 
AT+CREG? 
AT+CGDCONT=1,"IP","internet.lguplus.co.kr" 
AT+CGACT=1,1 
AT+CGPADDR=1